<경향신문>에서 노동자연대다함께의 ‘맑시즘’ 행사 강연료 방침을 문제 삼았던 <웹場> 구성원들이 맑시즘 기획팀의 입장에 반박 성명 비슷한 걸 냈다. 


핵심 입장은 이것으로 보인다[각주:1]. (맑시즘 행사 기간에 인턴 기자들이라는 사람들이 쓴 허접한 기사보다는 ‘솔직하다’는 점에서 낫다.)


200개 단체의 후원과 1,500명에 달하는 참가자의 참가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사에게 강사료를 지급하지 않는 것이 노동의 가치를 중요시하는 맑시즘의 취지에 부합하는가.

저희에겐 ‘맑시즘 포럼’이 ... ‘한국 사회 변혁 운동을 전진시키기 위한 토론과 논의를 하는 장’ 혹은 ‘진보적 사회 변화 운동의 일부’인가 아닌가는 중요치 않습니다. 


핵심은 웹장의 구성원들이 맑시즘 토론회를 단순한 수익 사업(즉 이윤 추구 행위)으로 본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자신들이 마치 ‘노동의 가치’를 대변하는 듯 말하는데, 사실 이론적으로 따져 보면 좀 유치하다. 


맑시즘 토론회가 수익을 목표로 하는 사업이라면, 주최측이 참가 티켓을 많이 팔아 수익을 남기려고 티켓 판매에 유리한 ‘연사’를 고용한 셈이 된다. 참가자는 티켓 형태로 된 행사 참가 상품을 사는 것이 될 것이다. 티켓 비용은 예상 비용이 아니라 목표 수익을 근거로 책정될 테다.

 

이때 연사는 연사료를 받더라도 착취받는 임금노동자인 것이다. 이 경우엔 강연료를 주지 않으면 착취 정도가 아니라 고용주의 강탈이 되는 셈이다.

 

그러나...  맑시즘은 변혁(or 99%의 저항) 운동을 건설하려고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모여서 토론하는 행사다. 


그러니 주최측도 연사도 [나같은 연사를 포함해] 수익이 아니라 더 많은 사람과 더 좋은 토론을 하려고 행사를 주최하거나 참가하는 것이다. 토론회 청중들의 참가 목적도 대체로 같기 때문에 이들이 내는 참가비도 소정의 행사 준비와 원활하고 쾌적한 토론 참여를 위해 행사 비용을 분담하고 후원하는 것으로 봐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일부 시민단체나 진보와 개혁을 표방하는 언론들이 주최하는 다른 강연 행사와 비교해도 현격히 저렴한 참가비를 설명할 수가 없다. 또, 노동자연대다함께가 때론 적자도 감수하며 12년째 토론회를 개최해 온 것도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경향신문>이 주최하는 ‘청소년저널리즘캠프’ 같은 행사는 2박 3일 참가비가 숙박비 포함 1인당 49만 5천 원이나 된다. 참여연대가 주관하는 강연 행사는 수익 사업이 목표가 아니겠지만, 강연 1회당 1만 원을 받는다. 반면 맑시즘은 나흘간 강연 17개를 듣는데 4만 원이고, 학교측이 에어콘 등을 끄면, 적자 감수하고 동력기와 에어콘 대여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다.)


많을 때는 1백여 명에 이르는 진행팀들의 자원 활동과 단 한 푼의 추가 비용도 없이 제공되는 진보진영 최고 수준의 탁아방 서비스도 그 진정한 ‘가치’를 알아볼 수 없을 것이다. 다른 강연회들과 달리 참가자들에게 공평하고 자유로운 발언 시간을 주는 것도 낯설 것이다.


지금껏 수백 명의 연사들이 연사료 없이도 기꺼이 참가해 즐거운 마음으로 한 사람에게라도 더 운동의 대의를 알리려고 애를 쓰며 수준 높은 연설을 자발적으로 해 준 것도 바로 이런 행사의 취지와 목적에 공감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사료는 객관적 관계이자 사용자의 의무인 임금 문제가 아니라 주최측이 주최측과 참가자들을 대표해 감사의 표시를 하는 주관적 문제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연사료가 없다’면서도 매번 강연 후에 감사의 선물을 하는 것이고, 지방의 연사들에게는 차비를 지원하는 것이고, 일부 연사는 그런 차비조차도 사양하는 일이 벌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고용 관계와 전혀 다른 연대와 공감의 관계로 맺어지는 관계들과 행사의 목적에 전혀 공감하거나 이해하려고 하지 않는 태도 때문에, 웹장의 구성원들은 ‘운동의 일부’인지는 전혀 궁금하지 않고, 임금이 지급되는 것만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웹장의 기사와 입장이 불쾌한 까닭은 자신들의 이런 무지를 성찰하기보다 오히려 상대와 독자들에게 강요하기 때문이다. 그런 태도의 연장선에서 어떤 공개 의무도 없는 주최측에게 수익 내역을 밝히라는 무례한 요구까지 하는 것이다. 


물론 강연료로 먹고 사는 이들에게는 이런 토론회 자체가 눈에 거슬릴지도 모르겠다. 그렇다고 그 분들이 맑시즘 연사들을 문제 삼을 수는 없고 또 그 역도 마찬가지다. 물론, 서로 필요가 일치하면 그 분들도 맑시즘 연사로 올 수 있다. 그건 순전히 주최측과 본인들의 선택 문제다. 


한편, 모여서 함께 토론하는 일, 조직하는 일, 집단적으로 결정하고 실행하는 것을 포함한 조직 그 자체의 중요성을 이해 못 한다면 이런 노력이 우습게 보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사실 주욱 살펴 봤듯이 너무 기본적인 판단의 문제 아닌가. 수익을 위한 자본의 노동력 고용(그리고 착취) 관계가 아닌데, 어찌 연사료 지급 여부가 ‘노동의 가치’를 담보하는 기준이 될 수 있겠는가. 


맑시즘 행사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노동의 가치’가 있다면, 쌍용차 등 노동 투사들의 연대 호소에 참가자들이 귀를 기울이고 어떻게 연대를 확산할지, 왜 정리해고가 나쁜지 등에 공감하며, 진지하게 토론에 참가하는 일일 것이다.


어떻게 불안정 노동과 청년 실업, 소수자 차별, 제국주의의 전쟁과 핵 위협, 기후 재앙 같은 문제들이 노동 중심의 변혁 전략과 결합돼서 해결 가능한지를 머리맞대는 것이야말로 ‘노동의 가치’를 실현하려는 진지한 노력일 것이고, 그러한 결론에 공감하는 참가자들의 네트워크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건설할 것인지에서 명쾌한 공감과 대안을 만들어 가는 것이 진정으로 ‘노동의 가치’를 귀하게 만드는 일일 것이다. 


따라서 진정으로 노동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은 변혁 운동의 토론 행사를 수익 사업의 기준으로 재단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웹장의 성원들이 말하는 ‘노동의 가치’가 교환가치로서 노동력의 가치만을 말한다면, 맑시즘 주최측과 참가자들이 소중히 여기는 ‘노동의 가치’는 단지 그것으로 환원될 수 없다. 


우리가 말하는 ‘노동의 가치’는 노동자를 착취하는 체제에 맞서는 ‘노동운동의 가치’이고, 억압과 착취에 저항하는 인간들 사이의 ‘연대의 가치’다. 


물론 참가자 중 일부에게 티켓 구입이라는 형식 때문에 이 관계가 상품 판매 관계로 보일 수도 있다. 현실이 자본주의이다 보니, 불가피하게 참가자들도 비용을 분담해야 할 수밖에 없고, 게다가 그 형식이 티켓 판매 형식으로 드러나니, 그 형식만 놓고 보면, 주최측과 참가자가 맺는 관계가 이윤을 위한 상품 판매 관계와 구분돼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행사 전체의 목적, 그리고 [형식과 대비한] 내용을 보면, 주최측과 연사나 참가자들이 맺는 관계는 교환가치로 맺어지는 관계가 아니라는 것이다. 누구 말마따나, ‘교환가치가 전부는 아니다.’ 


오히려 웹장의 구성원들은 변혁 운동의 대의와 문화에 전혀 익숙하지 않은, 심지어 적대적이기까지 한 자유주의 관점을 보여줄 뿐이다[각주:2]. 이런 한계는 자유주의가 인간의 모든 관계를 상품 판매로 맺어지는 관계로‘만’ 보기 때문이다.(상품물신주의[각주:3]21세기에 자칭 ‘진화’했다는 자유주의의 수준이 겨우 이 모양이다.


그러므로 자칭 오리지날 진보를 자처하는 일부 개인들이 이런 문제제기에 [때로는 유치하게] 적극 동조하는 것은 이 나라 변혁 운동 일각에서 그 이론과 지향점 수준이 훼손된 상황을 보여 준다고 하겠다.  



이 많은 투사들과 참가자들을 주최측의 수익을 위한 마케팅으로 동원된 사람들로 취급한다면, 너무 서글프지 아니한가. 적지 않은 이들에게 이는 모욕으로 들릴 것이다.



  1. http://baram.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208052047502&code=810404 [본문으로]
  2. 나는 이 기자들이 무급 인턴이라고 해서 자기 사장에게 하고 싶은 말을 기사로 올린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 봤다. [본문으로]
  3. 이렇게 자본주의 하에서 모든 관계가 상품 판매 관계로 보이는 것을 상품물신주의라고 하는데, 이런 현상을 본말이 전도된 것으로 보지 않고 정상적인 것으로 보는 관점을 마르크스주의에서는 물신숭배라고 부른다. [본문으로]
Posted by 단도직입[單刀直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