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4당 정책연합 합의문 내용은 … KTX가 용산역을 출발해서 서대전역을 지나고 있는데 용산역에서 ‘다시 돌아오라’고 하는 식의 내용도 있다.”
― 박지원의 5월 3일 기자간담회 발언, 표 먹고 오리발?
결국 한―EU
FTA가 통과됐다. 한나라당이 또 강행 통과를 시킨 것이다.
국회 농성을 불사한 진보정당들을 의식해 민주당이 한나라당과 합의를 번복했지만, 한나라당의 강행 처리를 막지는 않았다. 사실상 묵인한 것이다. 이런 일은 계속 반복될 것이다.
한―EU FTA는 친환경무상급식 등 공공복지 정책을 제약하고 기업의 이윤 추구 자유만 늘려 주는 협정이다. 그래서 대기업은 찬성하고, 진보진영은 반대해 왔다. 심지어 협정문 한글 번역조차 엉터리여서 민주당조차 전면 재검증을 주장해 왔다.
민주노동당 이정희
대표는 “야권연대[는]
… 야4당
정책연합 합의문에 ‘한미FTA
재협상안 폐기와 전면적 검증 없는
한-EU FTA 비준
저지’를 명시했기에 이루어진 것”이라며 반발했다.
진보신당도 “선거의 승리를 안겨준
국민을 역시 일주일도 안 지나서 배신”했다고 성토했다.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의원들은
4일
국회 로텐더홀에서 농성하고, 본회의장 의장석을 점거하며 저항했지만 의원들만으로는 역부족이었다.
손학규는 진보정당들의 도움으로 당선하자마자 한나라당의 한EU FTA 강행 통과를 묵인했다. 농성장에서조차 이런 자들과 악수를 해야 할까???
진보정당들의 저지 행동은 옳았다. 앞으로도 FTA는 무조건 폐기돼야 할 것이지 검토하고 말고 할 성질의 것이 아니다.
그러나 진보정당들이 민주당과의 야권연대를 물신숭배하듯이 중시한 것이 이런 사태를 자초한 것은 아닌지 돌아볼 필요도 있다. 이정희 대표는 “진보의 정책은 포기할 수 없다”고 했지만, 사실 ‘한―EU FTA 전면 검증’도 민주당과 보조를 맞추느라 ‘FTA 폐기’에서 후퇴한 정책이다.
합의의 주역 민주당 원내대표 박지원은
“[한―EU
FTA를 일단 저지한다는 야4당
정책연합 합의문에 관해]
의원총회에서 이런 논의가 구체적으로
없었고, 최고위에서도
있었는가 하는 기억이 없다”고 털어놨다.
민주당 자체가 야권연대의 정책
합의는 전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은 것이다.
또 박지원은 “[야4당 정책] 합의문 내용은 굉장히 좋은 것 … 하지만 우리에게는 현실이 있다”고 털어놨다.
민주당은 결코
자본가 계급 기반이라는 “현실”을 벗어날 수 없다. 그들은 5월 4일 의원총회에서 합의를 번복하겠다고 결정했지만, 통과를 막는 어떤 행동도 하지 않았다.
그것은 FTA가 대기업주들의 이익에 부합하기 때문이고, 민주당은 이를 거스르기 힘들다. 이번과 같은 태도는 집권 가능성이 커질수록 더 강해질 것이다. ‘국익’을 책임져야 한다는 이유로 말이다. ‘표 구걸할 때는 반MB 투사, 평상시엔 한나라당 2중대’를 반복하는 진짜 배경이다.
야권연대는 이런
민주당과 보조를 맞추려 하므로 진보정당 고유의 정책과
실천이 후퇴해 우경화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4월
29일
노조법 재개정 공동 발의에는 민주당의 거부로 민주노총의
핵심 요구들이 빠졌다.
반MB 야권연대가 단기적으로 선거적 실리를 가져다 주지만 중장기적으로 진보정치에 독이 된다는 경고가 옳다는 것이 계속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즉, 진정한 개혁을 위한 정치적 전진이 더뎌진다는 뜻이다.
진보대통합 연석회의에 참여한 진보 진영 대표자들은 ‘노동절 메시지’를 통해 “비정규직 철폐, 최저임금 현실화, 노동법 전면개정 등 노동현안과 한반도 평화 실현, 한미·한EU FTA 폐기, 민중생존권 쟁취, 생태환경 보존 등 당면 현안에 공동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약속을 지키려면 진보대통합과 새로운 진보정당 건설 협상은 민주대연합 노선과 분명히 선을 긋고 이 요구들을 실현할 독립적 대중투쟁을 건설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내 기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보대통합연석회의 핵심 쟁점과 좌파 배제 (2) | 2011.05.26 |
---|---|
진보정당 포기하는 복지국가 단일정당과 상시 야권연대 (0) | 2011.05.23 |
4·27 재보선―민주노동당 약진과 야권연대의 모순 (0) | 2011.04.29 |
서울 도심에서 좌파가 리비아 폭격 반대 집회를 하다 (0) | 2011.03.27 |
인도주의 개입론: ‘인권 vs 주권’ 구도는 허구 (0) | 2011.03.16 |